인산은 침적에 의한 고정이 되기 쉽고, 산성토양에서 활성철이나 알루미늄과 반응하여 고정되며, 철, 알루미늄의 산화 및 가수산화물에 의해 고정되고, 점토광물에 의해 고정되어 OH-기와 치환되기도 하며, 토양 미생물에 의해 고정(생체성분으로 고정)되는 등 양분의 유효도가 떨어진다. 고정 요인을 살펴보면 알칼리성이 될수록 용해도는 감소하고, 고정량이 증대하며, 음이온 종류나 음이온 공존시 고정량이 감소하고, 규반비가 낮아지면 용해도는 감소하며, 고정량이 증가하고, 논토양보다 밭토양에서 인산의 비효도 크다.
유기태 인산은 토양 건조, 지온 상승, 부식의 분해, 석회의 시용으로 분해가 촉진되고, 밑거름으로 시효하며, 근군 주위에 시비하고, 중거름이나, 구용성 입상, 밭토양의 담수 등도 분해를 촉진한다. 칼륨의 비효를 증진시키려면 수용태, 치환태로 만들어 작물에 흡수되고, 비치환태(고정태)는 흡수가 곤란하며, 토양조건에 따른 유효도 변화는 토양의 염기 포화도를 높인다. 산성토양에 석회를 시용하면 치환태 칼륨이 증가하고, 풍건시 치환태 칼륨이 증가하며, 고정태 칼륨은 염기포화도가 높고, 건조할 때 증가하고, 노후화답에서는 칼륨의 흡수가 저해되며 뿌리가 썩는다. 토양 환원에 의해 그 유효도가 증가하는 것은 인산이고, 비료 가운데 토양 중에서 잘 씻겨 내리지 않는 비료는 중과석이며, 낮은 pH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인산의 형태는 H2PO4-이다.
경작지 토양에서의 침식은 주로 가속침식, 이상침식이 많고, 수식유형은 막상침식(침식의 초기 유형으로, 토양 표면의 침식), 표면침식, 비옥도침식, 세류상침식(잔 도랑이 불규칙하게 생김), 우곡침식, 구상침식(가장 심한, 도랑이 커지고 표토, 심토가 깎임), 계곡침식 등이 있다.
수식에 관여하는 인자는 강우량, 강우 속도, 경사도, 경사장, 토양의 성질, 지표면 피복 상태 등이 있고, 기사 조건, 지형, 토양 조건, 식물상태 등도 중요하다. 강우 속도와 강우량은 강도 인자, 우세의 영향이 크다. 강우량이 많아 유속이 2배 증가하면 운반력은 25이므로32배 빨라지고, 침식량은 22이므로4배 많아진다. 수식 대책을 살펴보면 기본 대책은 치산치수, 산림조성 등이 중요하고, 입단 생성제인 Krillum, Acrisoil 등을 처리하며, 경사도가 5도 이하이면 등고선재배를 하고, 경사도가 5~15도이면 승수구와 초생대를 설치하여, 승수구 설치재배법, 초생대 설치 대상재배법을 시도하며, 경사도가 15동 이상이면 단구구축 계단식 개간경작법을 실시한다. 풍식 대책으로는 방풍림 조성, 피복작물 재배, 토양개량, 관개 담수, 풍향과 직각으로 작휴, 경운, 토양진압 등이 있다.
토양의 구조는소공극은 많으나 대공극은 적으며, 투수성과 통기성이 불량하고, 작물 생육에 부적절하며, 수화도가 작은 이온이 이단 생성에 큰 효과를 주는 것은 칼슘(Ca)이다. 토양 잔류성은 반감 기간이 180일이고, 양치식물은 카드뮴(Cd)의 흡수가 많다.
토양의 수식 정도의 지표는 분산율이고, 침식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비의 강도는 2~3mm/ 10분이며, 위험강우량은 10분동안 2mm의 비가 올 때를 말하고, 논토양의 1일 적정 침투량은 15~20mm이며, 증발산까지 합친 적정 감수량은 20~30mm이다. 침식에 의한 손실이 가장 많은 성분은 칼슘(Ca)이고, 침식에 의한 손실이 가장 적은 양분은 인산(P)이며, 침식을 가장 받기 쉬운 토양은 식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