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류의 원산지는 만주, 한반도 등 동북아시아이고,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작물이며, 주요 수입국은 일본(가장 많이 수입함), 네덜란드, 독일, 중국 등이고, 야생콩은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병해에 강하다. 콩의 재배 이용적 특성은 우리나라 기후 조건에 적합하고 생육기간이 짧으며, 단백질, 지방의 중요한 공급원이고, 돌려짓기, 섞어짓기 등 작부체계에 유리하며, 환경적응성이 크고, 재배 관리가 쉬우며, 질소비료의 시비량이 적고, 지력유지 및 증진 효과가 크다. 콩의 주요 생산국은 미국, 브라질, 중국, 아르헨티나 등이고, 우리나라의 재배 현황은 세계 평균보다 낮은 생산량을 보이며, 자급율은 10% 정도로, 전남 > 경남 > 경북 > 충북 순으로 재배면적이 많다.
콩의 형태적 특성은 뿌리혹박테리아가 싹이 뜰 때 1개가 가지 뿌리에 혹을 형성하고, 꽃이 피기 시작할 무렵부터 왕성하게 질소를 고정하며, 꽃은 나비꼴 모양으로, 꽃잎이 5장, 1개의 암술, 10개의 수술을 가지고 있고, 10개의 수술중 1개는 따로 떨어져 있으며, 콩꼬투리는 꽃이 핀 후 20일경 최대로 신장하고, 이후에는 두꺼워진다.
콩은 90 ~ 160일 동안 자라고, 유모기는 발아 후 제3옆이 나올 때까지이며, 이때까지 솎기, 보식, 북주기 등을 하고, 개화기(전 포기의 40~50% 개화) 이전에 김매기, 북주기를 끝내야 하며, 유협기는 정받이 후 꼬투리가 자라고 종실이 비대하는 시기이고, 녹협기는 꼬투리가 아직 녹색이며, 풋콩(20~30일)을 이용하고, 황병기는 꼬투리가 누른색으로 변하는 시기이며, 낙엽기는 전체의 반수가 낙엽(50~70일)이 지는 시기이다.
밭에서 발아하려면 온도 5~16℃, 무게의 100% 수분을 흡수하고, 우리나라 재배 품종은 대부분 유한신육형이며, 꽃은 이른 아침에 피고, 제꽃가루받이를 하며, 자연교잡율은 보통 20~45%이고, 단일성 식물이며, 만생종일수록 단일성이 더 강하다. 수량은 단위면적당 개체수, 꼬투리수, 평균종실수, 종실 무게에 좌우되고, 단위 면적당 꼬투리수를 확보하기 위해, 후기까지 양분을 공급한다.
콩은 축축한 기후를 좋아하고, 온도 25~30℃, 일교차가 클 때 결실이 좋으며, 7~8월의 평균 기온이 높지 않은 해에 입중이 크고, 유기질, 인산, 칼륨, 석회 등이 풍부하고, 물빠짐이 양호한 땅을 좋이하며, 염해에는 매우 약하다. 생태형에 따라 여름콩(올콩, 봄에 파종, 늦여름 수확)과 가을콩(그루콩, 여름에 파종, 늦가을 수확)으로 나누고, 중간 성질을 갖는 중간형이 있으며, 나물콩은 종실이 잘고 나물 생산량이 많은 콩을 이용하고, 단백질 함량은 38~48.5%, 지방 함량은 18~24%이며, 사이짓기 단점은 기계화 생력재배에 제한이 있고, 3년에 한번 우량 씨앗으로 바꿔 준다
콩의 종자소독은 베노람 수화제(벤레이트T), 지오람 수화제(호마이) 등을 사용하고, 밀식한계는 10a당 40,000본을, 뒷그루는 60,000본을 심으며, 콩의 시비는 질소:인산:칼륨 = 3:3:3.4kg/10a을 주고, 파종 후 2~3일내 제초제로 잡초를 방제하며, 잎이 5~7엽기에 순지르기를 하고, 그 효과는 도복방지와 중수효과가 있으며, 꽃 필 무렵 건조시에는 관수를 하고, 북주기는 2~3엽 ~ 파종 후 40일까지 해준다. 북주기 효과는 물빠짐이 좋아지고, 토양 통기, 지온 조절, 도복방지 효과와 부정근 발생 조장하고, 콩 생육 결질이 좋아진다.
콩에 발생하는 병해에는 콩탄저병(꼬뚜리에 많이 발생, 검은 겹둘레 병반, 종실이 불충실하고, 종자전염, 토양전염하기 때문에 종자소독을 철저히 함), 콩오갈병(바이러스병, 누렇게 변색, 진딧물 매개), 괴저모자이크바이러스병(검은색 갈색 괴저. 진딧물 매개) 등이 중요하고, 방제는 내병성 품종, 진딧물 방제 등을 철저히 한다. 세균병에는 세균성점무늬병(잎에 검푸른 다각형 병반, 그 둘레 누른색 겹둘레, 비가 많을 때 발생, 씨앗소독, 돌려짓기), 콩불마름병(지상부 모든 부분에 발생, 갈색 수침상 병반, 둘레 노란색 둥근무늬, 나중에 병반이 터짐, 종자, 피해 식물로 전염, 종자소독, 돌려짓기) 등이 방제 대상이고, 기타 자주빛무늬병, 노균병, 더뎅이병, 붉은곰팡이병 등이 중요하며, 뿌리썩음병을 제외한 대부분은 종자 전염을 하고, 건전종자를 채종하며, 종자소독에 유의한다.
콩에 발생하는 충해로는 콩시스트선충(뿌리 기생, 검은 혹모양 덩어리, 선충에 강한 품종, 돌려짓기, 살선충제 처리), 콩나방(애벌레가 어린 꼬뚜리 속에 피해를 줌, 살충제 처리), 잎말이나방(잎을 말고 그 속에서 갉아 먹음, 발생 초기에 살충제로 방제), 그밖에 진딧물, 굼벵이, 멸강나방 등도 방제 대상이고, 최근 노린재의 피해가 심해 살충제로 방제하며, 기생식물로는 줄기에 뿌리를 내어 피해를 주는 실새삼이 있다.
콩은 당질 함량이 높은 편인데 팥(54.1), 녹두(53.4), 완두(53.5), 동부(60.3), 강낭콩(61%) 정도이고, 우리 콩은 껍질이 얇고 깨끗하며, 윤택이 있고, 낟알의 크기가 고르지 않다. 두부의 종류에는 경두부(찌개나 조림용, 수분함량 85%), 순두부(간수를 넣어 멍울진 것), 연두부(경두부와 순두부의 중간 굳기, 콩물과 응고제를 넣어 그대로 가열)가 있다. 콩 재배 생력 기계화 재배를 하면 50~80%의 노동력 절감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