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토양은 충적토로 토양이 비옥하고, 관개용수원이 근거리인 집약농업 지역이다. 회색토는 과잉수의 영향으로, 유리산소가 결핍해져서, 철화합물이 환원되어 토양색이 회색이다. 적황색토는 저구릉지, 산록 및 홍적대지 등이다.
A층은 유기물 함량이 낮아 암황갈색이나, 암갈색이고, 심토 중에 적색은 적철광, 황색은 갈철광이 많다. 암쇄토(산악토)는 Lithosol로서 급경사, 험준 산악지, 하부 견고한 암반층 등이고, 유사반층토은 우리나라 서부, 남부 구릉지와 산악으로 표토 30cm 하부로, 주로 점토가 집적되어 수직배수가 안 된다. 갈색삼림토는 높은 산악지, 고원지, 삼림과 야생초지로 피복, 규산, 철, 알루미늄 등의 용탈이 심하다. 염류토는 간척지로서 염류의 함량이 높은 토양을 의미하며, 화산회토는 제주도가 대표적이고, 유기물의 함량이 높다. 농암갈색토, 흑색토는 가볍고 인산 고정력이 강하고, 염기 용탈이 쉽게 일어난다.
기상토양형을 살펴보면 강우량이 200이하이면 건조지역으로 사막이 있고, 강우량이 200 ~ 400이면 반건조지역으로 loess가 있으며, 강우량이 400 ~ 500이면 반습지역으로 흑토가 있고, 강우량이 500 ~ 600이면 반습윤지역으로 갈색토, 갈색낙엽살림토가 있고, 강우량 600이상이면 습윤지역으로 podzol, 침엽수림토가 있다.
성대성 토양은 첫째 Tundra지역으로 연중 강우량이 200~400mm로 적지만 증발량보다 강우량이 많다. 습윤상태로 농업상 가치가 없다. 둘째 건조지대 담색토양은 사막토(석회화 작용, 사막 식물), 적색사막토(유리산화철, 담적갈색, 석회화작용 및 laterite 작용), 회백초원토(강우량 약간, 미국 서부 목장지대), 갈색토(한랭건조, 반건조지대 갈색 석회화작용 밀재배, 목초지로 이용), 적갈색토(석회화작용에 의해 발달, 표층-적갈색, 관목이 자라고 대부분 목초지) 등이 있다. 셋째 반건 반습 및 습윤 지대의 암색 토양은 율색토(한냉~온난지, 유기물 3~5%, 율색 석회화 작용 백색 석회층 , 밀재배), 적색율색토(온난지대, 석회화작용, 배수 양호 곡류 및 목화 또는 목초지), 흑토(chernozem, 습윤, 온난 한냉지, 석회화작용. A층은 유기물이 8~10%이고, 흑색을 띠며, 떼알구조로 되어 있으며, 용탈이 없어 B층이 없다. 생산성이 높고 비옥한 농경지이다.), 프레리(Prairie, 습윤, 온난, 한냉지 석회화 작용)토양과 적색 프레리(prairie, 온난습윤, 열대 기후석회화 작용과 포드졸화 작용 A층, B층 갈색, 생산력 높다)가 있다. 넷째 초원. 삼림 중간지대 토양은 회색살림토(퇴화 chernozem, 습윤 기후 chernozem의 단면을 이루고 용탈작용), 비석회질 갈색토(온난, 반건조 준 습윤 포드졸화 작용, 다소 석회화 작용, 목초, 곡류, 과수) 등이 있다. 다섯째 삼림 지대의 담색 podzol화 토양으로는 Podzol(습윤냉온대 침엽수림, 표층 규산질 회백색), 회색 Podzol (한냉습윤~반습윤지에 분포 배수불량), 갈색 Podzol(다소 한냉습윤, 침엽수, 활엽수), 회갈색 Podzol(온난습윤 지대, 낙엽수, 경작지), 적황색 Podzol(온난열대 습윤, podzol, laterite화)가 있다. 여섯째 난온대 및 열대 지역 laterite토양은 적갈색 laterite(비교적 우량이 많은 건습), 황갈색 laterite(하층색이 황갈색), laterite 토양이 있다.
간대성 토양을 살펴보면 첫째 염류 및 알칼리성 토양은 염류토(solonchak, 알칼리 백토), 알칼리토양(반습윤~ 건조한랭지역 NaCO3알칼리흑토), Soloti, solod(알칼리 토양의 용탈이 더욱 진행, 아래층 CaCO3 집적) 등이 있다. 둘째 수성토양은 부식질 글라이토(석회작용 배수 불량, glei화 작용), 고산습초지토(고산 지방 배수 불량, glei화 작용), 이탄토(습윤기후 유기물 모재), 반이탄토(흑색 흑니질층 아래 무기질토), 저위 부식질 glei토(표층 유기물), Planosol(습윤 배수 불량, 점토 집적), 지하수 Podzol(한냉 및 열대 배수 불량, A층 표백층), 지하수 Laterite(고온건습, 배수불량, 포드졸화, 라테라이트화 둘다 진행) 등이 있다. 셋째 석회석 토양은 갈색산림토(한냉, 온난 습윤기후 활엽수 용탈이 적고 석회화 작용으로 인해 석회 함유), Rendzina(모암이 석회암, 이회암으로 되며 표층 chernozem과 비슷, 하층 회색 또는 황색 석회암 유래된 떼라로사)가 있다.
비성대성 토양은 토층 형성이 안 된다. 암쇄토(산악토, Lithosol),충적토, 레고솔(regosols, 사구, 황토, 빙적물, 미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