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식용작물학 05 기타 잡곡류
    농업직, 농촌지도직 자료 2024. 1. 30. 23:38
    반응형

    기타 맥류(, 호밀, 귀리 등)

       밀의 꽃수는 4~5개이며 원산지는 아르메니아이고, 호밀의 원산지는 서남아시아이며, 귀리의 원산지는 아르메니아와 중앙아시아 지역이다. 라이밀(트리티케일)은 주로 6배체, 8배체를 재배하고, 밀은 산성에 강하며 척박지, 건조지역, 습한 땅에 적응성이 강하다. 밀의 생산량 많은 나라는 중국, 미국, 인도, 프랑스 등이다. 호밀은 척박지 및 환경적응성이 맥류 중 가장 강한 특징이 있다. 귀리는 냉랭한 산간지에 적응하고, 습해에 강한 편이다. 또한 단백질, 지질이 많아 품질이 우수하다.

      라이밀은 저온다습 조건에서 수발아에 약해 재배되지 못한다. 빵 제조 장려 품종은 탑동밀이 있다. 강력(경질)분은 초자질이 70% 이상이고, 글루텐이 13이상으로 빵, 마카로니 제조에 사용되고, 중력(중간질)분은 초자질이 30~70% 사이이고 글루텐이 사이로서 국수를 만들 때 사용하며, 박력(연질)분은 초자질이 30% 이하이고, 글루텐 함량이 10미만으로서 과자, 튀김, 카스테라 제조에 사용된다.

      맥류중 자연교잡률 작은 것은 보리로 0.15% 수준이고, 호밀중 풋베기용은 수잉기에 수확하고, 사일리지용은 유숙기에 수확한다. 보리밭에 붕소가 부족하면 불임이 증가하며, 맥류중 타가 수정인 것은 호밀이고, 보리의 내한성을 높이는 무기 양분은 칼륨과 인()이다. 우리나라 5대 잡곡은 옥수수, 수수, 메밀, , 기장 등이고, 옥수수는 남아메리카 북부안데스 산지가 원산지이다.

    옥수수

      옥수수는 무상기일이 140 ~ 150일 이상이어야 하고, 당질이 주성분이며, 비타민 A가 풍부하고, 그밖에 배(12%) 지질을 함유하고 있다. 옥수수 수염은 신장병에 약제로 쓰이고, 옥수수대는 제지의 원료이다. 발아시 수분을 70% 흡수하고, 수꽃이 암꽃보다 4~5일 먼저 핀다. 타가수정이 원칙이고, 9~10일간 꽃이 피고, 꽃가루는 24시간, 암이삭수염은 10일 정도 정받이 능력이 있다. 밤온도가 15도 이하이면 저온피해를 받아 생육에 해롭다.

    마치종은 숙기가 늦고 사료용, 공업용, 사일리지용으로 사용되고, 경립종은 단단한 각질로, 맛이 좋아 식용으로 사용된다. 감미종은 단옥수수로 당분함량이 14%이고, 초당옥수수는 당분이 35%, 각질이고, 반투명하며, 여문 후 쭈글거린다. 통조림용, 요리용으로 이용된다.   폭립종은 각질부가 많고 잘 튀겨지며 특히 수분이 13.5~14.5%일 때 잘 튀겨진다. 찰옥수수는 아밀로펙틴이 풍부하고 식용, 떡 제조에 이용되며, 필수 아미노산인 리신의 함량이 높은 오페이크이다. 옥수수의 격리 거리는 400~500m이고, 웅성불임 계통을 사용하면 노동력이 절감된다. 옥수수 주요 수출국은 미국, 알제리, 남아공 등이고, 주요 수입국은 영국, 일본, 이탈리아, 네덜란드, 일 등이다.   단교잡종은 갑종강세 현상이 크나, 씨의 생산량이 적다. 복교잡종과 3계교잡은 강세가 약하나 씨가 많다. 변형 단교잡종은 강세가 강하고, 씨가 많다. 엔실리지용은 옥수수+호밀(남부지역-귀리)이 많다. 엔실리지용 옥수수는 황숙기에 수확한다. 종자 소독은 베노람수화제, 캡탑수화제(오소사이드)를 이용하고, 잎이 7~8개 나왔을 때 질소 50%를 덧거름으로 시용하면 배, 이삭이 왕성하게 생기기 시작한다. 제초제 처리는 사마진, 라소 유제를 3~4일 이내에 실시한다.

      옥수수에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병해는 그을음무늬병이다. 그을음무늬병(매문병)은 고온다습 조건일 때, 산간지에서 많이 발생한다. 특징은 푸르죽죽한 점무늬를 형성하고, 둘레는 갈색이며, 안쪽은 어두운색이다. 대책으로는 내병성 품종이 가장 효과적이고, 만코지(다이젠)수화제 등을 처리한다.   깨씨무늬병(호마고엽병)은 고온다습 조건에서, 갈색반점이 생기고 양분(질소)이 부족할 때 발생한다. 깜부기병(흑수병)은 큰 혹을 형성하고 토기에는 노란색을 띠나 후에는 검은색의 포자덩어리를 형성한다. 씨 소독을 철저히 한다. 검은줄오갈병(흑조 위조병)은 애멸구가 매개하는 바이러스이다. 바이러스병은 잎이 농녹색이고, 성장이 되지 않아 키가 작고, 이삭이 작거나 없는 경우가 많다.

       옥수수의 이삭이나 줄기에 조명나방이 2~3해 동안 발생한다. 잎에 피해를 주는 것은 멸강나방 등이고, 방제약제는 칼탑수용제(파단), 나크수화제(세빈) 등 침투성 살충제이다. 옥수수 알곡용은 저장수분 함량이 16%, 등숙이 45~60일 정도 되었을 때 이용한다 담근먹이용은 수염이 나온 후 40~45, 수분이 65~75%일 때 수확한다. 즉 황숙기~ 완숙기 초이다. 간식용과 풋옥수수용은 통조림용으로 외국에서 수입한다. 단옥수수는 수염 나온 후 20~25일이 수확이고, 초당옥수수는 수염나온 후 25일쯤 수확한다. 수확이 너무 빠르면 수량이 작고, 너무 늦으면 당분과 맛이 떨어진다.

    수수

       수수의 원산지는 아프리카 동북부이고, 우리나라 중부지역은 콩과 섞어짓기가 발달했다. 수수는 건조에 잘 견디며 요수량이 적다. 제꽃받이가 원칙이나 딴꽃받이 비율(3~5%)이 높다재래품종을 주로 재배하며, 이집트 도입하였고, 비중가림은 1.10, 종자소독은 베노람, 지오람을 많이 사용한다. 도정시 무게는 75%이고, 당질이 주성분이며, , 과자, , 술 제조에 쓰인다. 단수수의 줄기 당분은 9~13% 이다. 수수병해 중 큰 피해를 주는 것은 탄저병이다.

    메밀

       메밀의 원산지는 동북아시아지역이고, 서리에 약하며, 서늘한 기후를 좋아한다. 생육기간이 짧고 메마른 땅에 적응력 좋다. 대파작물로 많이 이용된다. 러시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우리나라에서는 옥수수 다음으로 많은 잡곡이다. 탄수화물이 주성분이고,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구성이 좋아서 냉면, , 국수 제조에 이용된다. 꽃은 꽃잎이 없으며, 5~6장의 꽃 덮개가 있고, 8개의 수술이 있다. 이형예 현상으로 장주화, 단주화가 생성된다. 딴꽃받이가 원칙이며, 수정 후 24, 파종 후 56~77일 후에 수확이 가능하다. 재래종이 주로 재배되고, 가을 메밀은 단일성이고, 70~80% 성숙하면 수확한다. 잡곡 중 생육기간이 가장 짧은 것은 메밀이다. 잡곡중 단백질 함량 많은 작물은 메밀로 14%정도이다.

       조는 동북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중국, 인도에서 많이 재배하며, 환경적응성 크나, 재배가 곤란하고, 수량과 수익성이 낮다. 요수량이 적고, 수분조절 능력이 있어 건조에 강한 편이다 병해는 조군데병, 깜부기병 등이 있고, 종자소독과 돌려짓기로 방제한다. 조의 자연교잡율은 0.22~2.6% 수준이다.

    기장

      기장은 조에 비해서 짧은 생육기간을 가지며, 가뭄에 잘 적응한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