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식용작물학 04 보리 재배
    농업직, 농촌지도직 자료 2024. 1. 29. 22:10
    반응형

    보리 재배

      보리는 삼국시대부터 재배해온 오곡의 하나이고, 원산지의 경우 여섯줄보리는 중국 양쯔강 상류와 티베트 지역이며, 두줄보리는 카스피해 남쪽의 소아시아 지역이다. 쌀보리는 겉보리로부터 분화되었으며, 요당, 혈당, 콜레스테롤 형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찰보리를 육성하고 있다. 겉보리는 경상남북도, 전라북도에서 많이 재배하고, 쌀보리는 전라남북도, 경상남도에서 주로 재배한다. 맥주보리는 경상남도, 전라남도, 제주도에서 재배한다. 보리는 천연 기능성 식이섬유로 베타글루칸이 풍부하다.

      보리의 중배축은 2cm 이상 깊게 심어야 한해와 도복 저항성이 크고, 꽃은 1개의 암술, 3개의 수술, 1쌍의 비늘껍질이 있으며, 까락은 엽록소도 많아 왕성한 광합성을 한다. 종자는 식물학상 과실이고, (껍질)에 싸여 영과이며, 겉보리는 낟알이 분리가 안 되고, 쌀보리는 잘 분리된다. 메보리는 아밀로오스 함량 21%(요오드 : 청색) 정도이고, 찰보리는 아밀로오스가 거의 없고, 아밀로펙틴이 풍부하다.  유묘기 는 본잎이 2~4매이며, 분얼이 시작되고, 월동에 중요한 시기이다. 분얼기는 본잎 4~8매이고, 유효경 비율은 분얼 총수에 대한 유효 분얼수로 30~70% 사이이다. 유수형성기는 이삭패기 35일전부터이고 잎 수는 7~9매이며, 이삭 길이는 0.7~2mm정도이고, 등숙기는 가루받이 후 30 ~ 35일 사이이다.

      발아는 수분을 40 ~ 50% 흡수했을 때 시작되고, 뿌리수의 경우 겉보리는 5, 밀과 쌀보리와 귀리는 3, 호밀은 4이다.

      보리의 출수 촉진은 고온 장일 조건이 필요하며, 꽃의 경우 보리는 오전에, 밀은 오후에, 5~24시간 정받이 후에 핀다. 추파성 맥류의 춘화처리는 춘파재배시 재배기간이 단축된다우리실산이나 지베렐린으로 춘화처리를 하기도 하고, 휴면성이 강하면 수발아도 강하여 MH 살포로 억제시킨다. 휴면 타파는 과산화수소에 24시간 침지하여 실시하고, 맥류는 숙기가 빠르고 수량도 많고, 품질도 우수해진다.

      겉보리 장려 품종으로는 전국적으로 찰, 샛강, 새올, , 올보리 등이고, 중부지역의 경우 두루보리, 동보리 1, 동보리 2, 부농을 권장히며, 쌀보리 품종은 새찰쌀, 올쌀, 흰찰, 찰쌀, 백동, 영산보리, 무안보리, 송학보리, 부등쌀보리, 내한쌀보리 등이 유명하다.

      소독은 보리 1kg에 카보람분제(비타지람) 2.5~3.0g을 처리하여 깜부기병과 줄무늬병을 방제한다. 파종기가 늦으면 흰 눈이 나타날 정도로 싹(뿌리, 싹이 너무 길지 않게)을 틔워 뿌린다. 파종량은 흩어뿌림(300, 10a = 16~20kg)을 주로 하고 종자는 3Cm 정도 덮어준다.

      비료의 3요소 흡수 비율은 N : P : K = 3 : 1 : 2 비율이다. 제초제는 부타입제와 부타유제, 벤치오입제, 벤타존 등을 주로 처리하고, 답압을 실시하여 동해를 예방하고, 건조시 생육을 억제한다. 또한 뿌리발달을 촉진시켜, 월동에 유리하게 관리하며, 15~20KG의 롤러를 사용한다. 북주기는 무효분얼을 억제하고, 도복을 방지하며, 통풍과 일조에 좋다

      동해 방지를 위해 두엄, 인산, 칼륨비료를 많이 준다. 또한 파종량을 늘리고 답압과 피복(두엄, , 왕겨)을 실시한다. 습해발생시 1~2% 요소용액을 엽면시비해 준다.

    보리의 병해

      깜부기병은 겉깜부기병, 속깜부기병, 비린깜부기 등이 있고, 녹병은 5~6월 따뜻하고 습할 때, 검붉은 반점, 노란 줄무늬, 가루(포자)가 발생한다. 에 큰 피해를 주며 상대적으로 보리에는 피해가 적은 편이다. 예방대책으로는 숙기가 빠른 품종을 심고, 질소질 거름을 적정하게 시비하며, 물 빠짐을 좋게한다 줄무늬병 증상으로는 누런 줄무늬, 갈색, 검은색으로 변하고, 붉은곰팡이병은 출수개화기 비가 많고, 15이상이 지속될 때 흰공팡이가 생기고 붉게 변하면서 이삭이 고사한다. 대책으로는 이삭 팬 뒤 2주일 사이에 황수화제 400배액을 처리한다.

    보리의 충해

      보리굴피리는 애벌레가 줄기 속을 가해하기 때문에 유기인제로 방제하고, 진딧물과 굼벵이가 많이 발생하며, 보리나방은 저장 중 씨알을 식해한다.

      수확시 콤바인의 회전수를 살펴보면 종장용은 500~550회가 적당하고, 정선은 40kg 단위로 포장하며, 도정률(무게)의 경우 겉보리는 59%, 쌀보리는 68%, 귀리는 53% 정도이다.

      보리는 캄슘, , 철 무기성분, 비타민 B가 풍부하고, 맥주보리는 알이 굵은 두줄 겉보리를 선택하는데 종자가 굵고 고르며 껍질이 얇은 것, 녹말 함량이 많고, 단백질, 지방함량 낮은 것, 발아력이 강하고 균일한 것, 아밀라제 작용력 강한 것, 껍질색이 깨끗한 것이 좋다. 즉 맥주보리 장려 품종은 두줄보리로서 진양, 진광, 제주, 삼도, 향맥, 사천6, 두산 8, 두산 29, 골든멜론(황금보리) 등이 있으며, 10a7~8kg 정도 사용하여 비교적 적게, 건실한 종자를 선택한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