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식용작물학 03 벼(수도작) 2
    농업직, 농촌지도직 자료 2024. 1. 21. 00:39
    반응형

    (수도작)  2

      벼의 학명은 Oryza sativa, 2n=24이고, 조만성은 벼 일생 중 영양생장 기간의 장단을 말하며, 가소영양생장성은 감온성, 감광성에 의해 영양을 받고, 생장기간을 좌우한다. 벼의 출수 촉진 조건은 고온과 단일이다.  종자 갱신 체계는 4년에 1회가 적당하고, 지력이 보통인 곳, 햇볕이 잘 쬐는 곳, 땅이 메마르지 않은 곳, 지나치게 비옥하지 않은 곳, 질소 비료를 적게 주고, 이형주를 제거하며, 황숙기에 수확한다.

      이앙재배(이식재배) 장점은 본논의 효율적 이용(여러 번 짓기), 물과 벼농사에 필요한 노동력 절감, 수리 불안전답의 초기 육묘 안전성 확보, 조밀한 관리 및 조기 이앙으로 증수, 등숙이 잘 되게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볍씨 소독으로 방제할 수 있는 병은 도열병, 깨씨무늬병, 키다리병 등이 있고, 모판흙은 pH 4.5~5.5가 적당하며, 이를 위해 황산이나, 황산가루를 처리한다 입고병, 뜸묘 방제응 위해 다찌가렌 분제를 처리하고, 육묘 관리시에는 다찌가렌, 리도밀, 후치왕 등을 처리한다. 녹화기에 일교차 심하고 볕이 너무 강하면 백화묘가 될 위험성이 크다. 경화기는 자연 환경 적응기로 야간 온도가 10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주의하여 관리한다. 육묘중에는 백화현상과 잘록병(입고병), 뜸묘가 발생하기 쉽다.

      중간물떼기 효과는 무효분얼을 억제하고, 뿌리에 산소를 공급하며, 이로 인해 뿌리가 깊어지고, 황화수소, 유기산 등 유해물질을 감소시키며, 토양 중의 양분 유효화 및 흡수를 용이하게 한다. 조기낙수를 하면 이삭도열병 발생이 우려되고, 만기낙수는 결실이 늦고 청치 발생이 많아질 수 있다.

    논 잡초

      한해살이 잡초는 피,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등이 있고, 여러해살이 잡초는 올미, 올방개, 가래, 벗풀 등이 있다. 벼 생육 시기별 용수량이 가장 많이 필요한 시기는 활착기와 수잉기이고, 양질미의 조건은 마그네슘(Mg)을 시용하고, 단백질 함량이 높을 것, 아밀로오스 함량이 적을 것, 알칼리 붕괴도가 높을 것, 점성이 강할 것, 색택이 희고 윤기가 날것, 기호에 맞을 것, 알이 둥글고 작을 것 등이 있다.

      지연형 냉해는 영양생장기에 낮은 기온으로, 출수 지연, 등숙 저해, 수량 감소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벼의 개화는 습도 70~80%에서 개화는 1~1.5시간이 소요된다. 벼의 최대 수량결정 시기는 영화 분화기이며, 출수 전 30일부터 출수기까지 일조량이 부족할 때 피해를 주는 요인은 1이삭당 벼알수이다.

      모잘록병(입고병)은 못자리에 많이 발생하며, 잎집무늬마름병은 기계이앙 재배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병이다. 벼의 동화작용과 외적 요인은 18~34의 온도 범위에서 동화량은 별 차이가 없고, 논벼의 단위 동화력의 광포화점은 4~5Lux이며, 논벼 군락상태의 광포화점은 7~9Lux이다. 엽중 질소(N) 함량이 높을수록 엽면적과 동화량이 증가한다. 수중형 품종은 장간이면서 키도 크지만, 이삭 수가 적으며, 뿌리는 심근성이고, 척박지, 만식재배에 적당하다. 1포기 중에서 등숙립의 수가 100립일 때, 평균 1이삭당 등숙립수는 75~80% 수준이다.

      1년생 잡초로 화본과는 강피, 물피, 돌피, 둑새풀 등이고, 방도사니(사초)과는 알방사니, 참방사니, 바람하늘지기, 바늘골 등이 있으며, 광엽초는 물달개비, 물옥잠, 사마귀풀, 여뀌, 여뀌바늘, 마디꽃, 등애풀, 생이가래, 곡정초, 자귀풀, 중대가리풀 등이 있다.

      2년생 화본과 잡초는 나도겨풀 등이 있고, 방동사니과 잡초는 너도방동, 매자기, 올방개, 쇠탈골, 올챙이고랭이, 파대가리 등이 알려졌으며, 광엽 잡초는 가래, 벗풀, 올미, 개구리밥, 네가래, 수염가래꽃, 미나리 등이 있다.

      수발아가 일어나기 쉬운 조건은 저온다습 조건이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육종법은 교잡육종의 하나인 계통육종법이며, 내병성 품종 육종은 여교잡으로 한다. 순계선발법으로 개발한 품종은 조생통일, 영남조생, 호남조생 등이고, 교잡육종법을 이용한 품종은 농배, 낙동, 통일 등 국내 육성품종은 대부분 이방법을 많이 사용했으며, 돌연변이 방법으로 생산한 품종은 여명을 육성하였고, 약배약으로 개발한 품종은 화성벼, 화청벼 등이 있다.

      유수형성기는 벼의 어린 이삭이 1.5~2mm 자란 시기이고, 벼 잎은 줄기 각 마디에 1잎씩 붙는다. 수확기 볏집의 규산함량은 10% 정도이다. 기계 모내기의 1상자당 파종량은 어린묘의 경우는 200~220g(15~20상자), 중묘는 130g(30상자) 정도이다.

      우리나라에서 월동하지 않고 중국 등에서 비래하는 해충은 벼멸구, 흰등멸구, 혹명나방 등이 있고, 분얼거름은 모내기 15~20일 후에 주고, 이삭거름은 출수 25일전, 15일 전에 준다. 알거름은 출수기 전후에 준다. 감수분열기의 판별은 벼의 잎 귀 사이의 길이로 한다. 가장 일찍 육묘할 수 있는 묘자리는 비닐밭못자리이고, 벼 종자의 발아과정에서 육모 출현기는 활성기말이며, 분얼촉진 효과가 큰 영양분은 질소와 인산이고, 분얼은 고온(35이상)에서는 유효분얼이 감소하고, 벼 직파 재배시에는 수수당 영화수의 감소로 수량이 감소한다.

    반응형

    '농업직, 농촌지도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양학 03 토양의 특성  (2) 2024.01.26
    토양학 02 토양학 기초  (1) 2024.01.25
    식용작물학 02 벼(수도작)  (0) 2024.01.20
    식물병리학 04 주요 식물병  (0) 2024.01.19
    잡초방제학 03 제초제  (0) 2024.01.19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