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수도작)
일조 부족이 수량에 큰 영향을 주는 시기는 감수분얼기와 등숙기이고, 수잉기 이후 일조 부족시, 잎집무늬마름병, 잎집부패병 등이 발생하며, 도복의 원인이 된다. 벼 생육에 적합한 토양은 작토층이 깊고, 부식이 많은 참흙이나 질참흙이 알맞고, 하루 15~20mm 투수되는 토양으로 증발량 포함 30~35mm 정도의 땅이 적당하다. 광합성 능률이 최고일 때는 최고 분얼기에서 출수기경이다.
추락답에서는 유수형성기부터 아랫잎이 고사하고, 깨씨무늬병 등의 병해 발생이 일어난다. 추락답에는 산적토 즉 야산 붉은 흙으로 객토하고, 규산질 비료를 시용하며, 심경작업을 하고, 황산암모늄, 황산칼륨 같은 황산비료 사용을 금한다.
수수형 품종은 이삭에 따라 분류하며, 이삭 무게가 가볍고 이삭 수가 많다. 또한 분얼이 많고 뿌리 분포가 얕으며, 줄기가 짧고, 잎과 이삭이 작으며, 비옥한 땅에 성기게 심고, 밑거름과 분얼거름의 효과가 크다. 수중형은 척박지, 밀식, 이삭거름의 효과가 크고, 단간수중형은 통일형이 해당하며, 수광능률이 좋다
병해
도열병은 잎도열병, 목도열병, 이삭도열병, 가지도열병은 있으나 줄기도열병 없다. 30℃ 이상 발병이 중지되며, 벼 포기 군데군데가 검푸른색이 되고, 마름모꼴의 고동색 작은 반점이 생기고, 약제로는 키타진, 후치왕, 오리단 등이 있다. 잎집무늬마름병(문고병, 풍년병)은 잎집 부분에 구름무늬 모양 병반이 생기고, 모내는 시기 빨라지고 거름주는 양이 늘면서 병 발생이 많아지고 있다. 약제로는 키타진, 바리신, 네오진 등이 있다. 흰잎마름병은 세균성 병으로, 태풍이나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시 발생이 많아진다. 잎 가장자리 끝부분에 흰빛으로 마른다. 대책으로는 질소과용을 회피하고, 논두렁의 잡초(겨풀, 줄풀 등에서 월동)를 제거하며, 더러운 물의 관수를 금지하고, 태풍, 장마 직후에 페나진, 메디, 테람 등을 처리한다.
줄무늬잎마름병은 바이러스병으로, 매개체인 애멸구를 방제하고, 오갈병도 바이러스병으로, 끝동매미충, 번개매미충이 매개한다. 깨씨무늬병은 잎이나 벼 알에 생기고, 도열병과 비슷한 병징을 보인다. 생육후기에 영양이 부족한 상태나 추락답 등에서 많이 발생한다. 방제대책으로는 종자소독을 청저히 하고, 규산이나 Fe, Mn 등을 공급해준다.
충해
멸구류는 애멸구, 흰등멸구, 벼멸구(비례충) 등이 있고, 매미충류는 끝동매미충, 번개매미충 등이 알려져 있으며, 약제로는 아프로밧사, 카보입제, 오리단 등이 있다. 이화병나방은 애벌레 상태로 월동하고, 6, 8월에 많이 발생하며, 애벌레가 줄기 속으로 들어가 줄기와 이삭에 피해를 준다. 벼물바구미는 애벌레가 벼 뿌리를 가해하고, 성충이 잎을 가해한다.
출아상태는 어린 잎이 5mm 이상의 출아시 개체수로 판정하고, 출아기는 총 파종 수의 40%가 지표면에 출아한 날이 되고, 출아 종료는 80%가 지표면 위로 출아한 날이다. 잎의 영양진단으로는 잎이 길고 폭이 넓으며 단단하다면 영양상태가 양호한 것이고, 잎이 길고 폭이 넓으며 연하다면 질소나 규산이 부족한 상태이며, 만약 잎의 길이가 길고 폭이 좁다면 인산이 부족한 것이다.
일의 길이가 짧고 폭이 넓으며 농녹색을 띤다면 갈륨이 부족한 상태이고, 잎의 길이가 짧고 폭이 좁고 담록색을 띤다면 질소가 부족한 것이다. 이삭이 분화하기 시작하는 시기의 잎 나이 지수는 77이고, 꽃이 분화시에는 지수가 88~92 정도이며, 감수분얼기에는 지수가 97, 지엽시에는 100으로 본다.
벼 수량 구성요소
수량 = 단위면적당 이삭수 × 1이삭당 평균영화수 × 등숙률 × 현미 천립중 ÷ 1,000
수확시기 순서는 유숙기-호숙기-황숙기-완숙기-고숙기 순이고, 조생종은 출수 후 40일, 만생종은 출수 후 45일이다. 수분 함량은 수확기에는 20% 이하, 탈곡 시기에는 16%이하이다. 채종용 벼 수확시 콤바인은 300rpm 정도가 적당하다. 건조 및 도정시의 수분 함량은 15% 이하이고, 상품용은 55℃ 이하로, 종자용은 40~45도 이하로 건조하고, 벼의 저장은 15℃, 습도 70%가 적당하다. 쌀보다 벼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 좋고, 저장 해충으로는 화랑곡나방, 보리나방, 쌀바구미 등을 주의해야 하며, 백미 저장시 해충의 종류가 늘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