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식물병리학 04 주요 식물병
    농업직, 농촌지도직 자료 2024. 1. 19. 21:41
    반응형

    진균(곰팡이)

    진균(곰팡이)은 균사체, 영양체, 번식체를 가지고 있다. 진균을 분류하면 유주자균(균사에 격막이 없다), 담자균(격막 있다), 자낭균(격막 있다), 불완전균(무성적 분생포자 세대)으로 나눌 수 있다. 유주자균병에는 모잘록병, 벼노균병, 감자역병, 감자암종병 등이 있다. 담자균병에는 깜부기병, 녹병배붉은별무늬병, 벼잎집무늬마름병 등이 있고, 자낭균병은 맥류붉은곰팡이병, 흰가루병, 흑성병 등이 유명하며, 불완전균병은 벼도열병, 탄저병, 오이덩굴쪼김병 등이 있다. 점균은 포자증식을 하고, 세포벽 있어 유주자를 형성한다.  또한 1~2개의 편모를 가지고 운동과 이동을 할 수 있고, 동물과 식물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식물 전염병의 1차 전염원은 균사, 포자, 균핵 등이 있고, 2차 전염원중에서 무성포자는 분생포자가 대표적이다. 진균의 유성생식 단계는  원형질융합-핵융합-감수분열 순으로 이루어진다. 균핵을 형성하지 않는 병은 흰가루병이 있고 균핵을 형성하는 균에는 등이 있다. 병든 조직의 습실처리 목적은 분생포자를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순활물기생균은 흰가루병, 녹병, 노균병 등이 대표적이고, 곰팡이는 균사, , 포자를 가지고 있다.

    불완전균의 특징은 생장이 불완전하고, 자낭포자를 갖는 것이 많으며, 고온에서 잘 자라지 않고, 무성포자 세대는 알려졌으나 유성포자 세대는 불확실하다.

    자낭균은 기본적으로 8개 자낭포자 형성하고, 흰가루병균은 자낭구 형성하고, 복숭아잎오갈병은 노출된 자낭구를 가지고 있으며, 벼깨씨무늬병, 키다리병균은 자낭각을 형성하고, 균핵병균은 자낭반 형성하며, 흰비단병은 5~6년 동안 균핵으로 토양에 잔존이 가능하다.

    세균

    세균성 병원균은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를 제외하고는 모두 간상이고, 단세포로 구성된 미생물로서 접합, 형질변환, 형질도입 등의 방법으로 유성생식을 하며, 대부분의 세균은 무성생식인 이분법으로 증식한다.

    침입 방법은 식물을 직접 가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뿌리 또는 지제부의 상처를 통한 침입하는 균으로 채소 무름병, 토마토 풋마름병 등이 있고,

    그람양성 세균으로는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terium, 감자둘레썩음병)이 대표적이며, 그람음성균은 토마토더뎅이병,  강낭콩시들음병, 토마토풋마름병 등이 있다.

    세균은 세포벽, 세포막, 세포질로 구성되어 있고, 채소의 재배, 수송, 저장 중에 병을 일으키는 균으로 채소세균성무름병 등이 있다. 세균 대표적 균은 벼흰잎마름병, 채소류무름병, 가지과풋마름병, 감자둘레썩음병 등이 있다. 세균의 곤충매개를 최초로 발견한 것은 , 사과나무 화상병이고, 수매전염은 벼흰잎마름병 등이 알려져있다. Erwinia균은  사과, 배화상병, 채소무름병, 오이류풋마름병 등의 병원세균이고이다.

    마이코플라스마

    마이코플라스마는 세균보다 더 작은 가장 간단한 생물로, 원핵생물이고, 크기가 70~900mm, 세포벽이 없으며, 원형질막(한계막)에 둘러싸여 있다. 또한 식물병으로 200여 종에 감염하며, 전신감염성이다. 체관부 흡즙 곤충에 매개되며, 경란전염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마름무늬매미충이 매개하고, 적용약제는 항생제인 테트라사이클린 (Tetracycline) 알려져 있다. 방제방법은 매개충 구제, 저항성품종 재배, 항생제 처리 등이 있다. 오동나무빗자루병은 담배장님노린재가 매개하며, 뽕나무오갈병은 마름무늬매미충과 매미충붙이가 매개하고, 과꽃누른오갈병은 매개충(), 영양번식기관, 새삼 등이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기온에 따라 지배되는 경우가 많다. 비영속성이란 곤충의 체내에 들어가지 않고 구침에 머문 상태에서 전염되는 것을 말하고, 영속성이란 곤충의 체내에 들어가거나 곤충체 내에서 증식한 후에 비로서 감염되는 것을 말하며, 바이러스는 핵단백질과 입자상 구조체의 비세포성 생물로, 스스로 증식하지 못하고 생활세포 내에서만 증식이 가능하다. X-체는 광학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비결정성 봉입체를 의미하며, 구침 전반형 바이러스는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로 복숭아혹진딧물이 매개하며, 색소체 이상변환은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에서 나타난다.

    진균이 매개하는 바이러스는 담배왜화바이러스이고, 영속성은 순활물, 증식형, 멸구류와 매미충류, 흡즙 시간이 길며, 비영속성은 구침형, 진딧물, 흡즙 시간이 짧고, 바이러스 모양은 구형, 간상, 타원형, 사상형 등 다양하다.

    바이러스의 전염경로는 충매, 접목, 즙액, 환경, 영양번식 등이 있으며,  토양전염은 알려지지 않았다. 바이러스 매개충은 노린재목이 대부분이며, 경란전염은 벼오갈병바이러스, 종자전염은 콩모자이크바이러스, 즙액전염은 감자X바이러스, 감자Y바이러스, 콩모자이크바이러스,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바이러스와 매개충 간의 특이성은  진딧물류 낮은편이다. 토양선충 전염은 간상의 Tobacco rattle virus가 있으며, 감자잎말림바이러스는 반영속성으로 순환형바이러스에 속한다. 접촉전염이 용이한 바이러스는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가 있고, 최초로 발견된 바이러스는 튜울립모자이크병이다.

    비로이드(바이로이드)는 병원성 미생물체중에서 가장 작으며, virus1/10정도 크기이고, 감자걀쭉병이 알려져 있다.

    기생성 식물

    뿌리에 기생하는 식물은 열당, 쑥더부살이, Striga가 있다. 겨우살이의 특징은 식물체에 직접적인 해를 끼치며, 열매는 공 모양으로, 진한 누른색을 띠며, 가을에 숙과한다. 또한 자웅이화이고, 색은 담황색으로, 이른 봄에 개화한다. 종자가 새의 주둥이에 부착되거나, 새똥에 의해 이동하며, 발아->흡반->기생근->피층 침입의 절차를 거쳐 기생한다. 참나무류의 피해가 크다.

    새삼(Dodder)은 여름철 기생식물로, 콩의 생육과 결실을 방해하며, 기생을 통해서 마이코플라스마가 바이러스를 매개하고, 형태는 곤봉형 뿌리를 가지며, 광합성을 한다. 해캄은 못자리에 황산구리를 관주하여 방제하며, 벼에 간접적으로 피해를 준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