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인이란 병에 걸리기 쉬운 성질을 말한다. 크게 종속소인(유전적 성질)과 개체소인(개체간의 다른 성질)으로 나눈다. 식물병 유발은병원체와 감수성 식물(기주체, 이병성), 환경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인이란 병을 일으키는 간접 영향을 의미한다.
미생물은 절대기생(순활물기생체, 녹병균, 흰가루병균, 노균병균)과 임의부생(반기생체, 생체 기생이 원칙, 조건에 따라 부생체, 깜부기병, 감자역병), 임의기생(부생이 원칙, 조건에 따라 기생체, 고구마무름병, 잿빛곰팡이병) 그리고 절대부생(죽은 유기물, 목재 심재썩음병)으로 나누기도 한다.
기주교대란 이종기생균의 생활사 완성으로 2개의 기주가 필요하다. 병환은 식물병이 되풀이 되어 발생하는 과정을 말한다. 전염원-전반-침입-감염-잠복기-병징-표징-병의 지속-병사-전염원을 되풀이 한다.
1차 전염원의 되는 것은 균사(번식체), 포자(영양체), 균핵(종자) 등이 있다. 병원성은 병의 유발 능력을 말한다. 병원균의 레이스(race)는 형태는 같으나 특정한 품종에 대한 병원성다르며 판별품종이 된다.
병원체가 침입할 수 있는 자연개구는기공, 수공, 피목, 밀선 등이 있으며, 효과적인 유효전반은 곤충매개 방법이며, 전염이 가장 높은 것은 공기(바람)전반이다.
감자둘레썩음병은 감자를 자른 칼이나 가위에 의해 전파되기도 한다. 벼도열병은 포자에 바람 전파, 각피침입을 한다. 월동 후 기주에 침입하는 것을 1차전염이라 한다. 사과나무화상병균과 맥각병균은 밀선침입을 한다. 각피침입은 벼도열병, 흰가루병, 깜부기병, 녹병 등에서 이루어진다. 상처침입은 상이기생체로 목재썩음병, 고구마무름병, 귤푸른곰팡이병, 바이러스 등에서 진행된다. 기주뿌리에 인접하고 미생물활동이 활발한 곳은 근권이다.
꽃감염은 사과꽃썩음병, 밀보리깜부기병 등이고, 모감염은 보리속깜부기병균, 밀비린깜부기병 등이며, 뿌리감염은 배추무사마귀병, 토마토풋마름병 등에서 이루어진다.
감염은 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하며, 면역성은 병에 전혀 안 걸리는 성질을 의미한다.
연작은 그루터기병, 인삼뿌리썩음병이 대표적이며, 과수의 병은 다습 조건에서 찾아온다
저온은 벼도열병(여름철 저온)의 냉해의 주요 원인이다.
고온에서는 밀모마름병이 발생하고, 병원균 포자발아 침입시에는 물 또는 90% 상대습도 조건에서 이루어진다.
토양전염병균은 배추균핵병균, 모잘록병균, 오이흰비단병균, 시들음병균 등이 대표적이고, 감자바이러스는 잡초에서 월동한다. 벼노균병은 조직이나 잔해에서, 보리속깜부기병은 종묘를 통해 전염한다.
복숭아 품질 저하의 원인은 검은점무늬병 때문이다.
벼도열병은 pyricurol독소를, 배나무검은무늬병은 AK독소를, 옥수수깨씨무늬병은 HMT독소를, 옥수수그을음병균은 HC독소를, 귀리마름병균은 PC독소를 생성한다. 기주특이적 독소 반응은 감수성식물에서 일어난다. 식물병원균이 기주식물에 병징을 일으키는원인은 독소 때문이다. 병원균이 기주에 침입할 때 cutin질 분해효소로 방출하는 효소명칭은 ‘cutinase’이다.
도열병의 race는 T(인도), C(중국), N(일본)으로 분류된다. 전혀 걸리지 안는 성질을 면역(성)이라 한다. 변이를 야기시키는 기작은돌연변이, 교잡, 준유성교환, heterocaryosis가 있다. 내병성은 병에 걸려도 경제적 피해가 적은품종을 말하며, 약제저항성은 동일약제 연용, 살포횟수 증가에 의해 없어진다.
감염 전 저항성으로 벼는 표피에 규산이 축척된규질화 세포의 수가 많을수록 도열병균에저항성이 강하다. 표피 세포벽의 두께, 각피의 발달, 기공의 넓고 좁음, 후막조직의 발달, phenols, 탄닌산, 왁스, cutin 등에 의해 달라진다.
감염 후 저항성으로는 과민성, phytoalexin(예. pisatin, rishitin), 조직의 변화, 병원체의 생육지연 등이 있고, 소나무잎떨림병, 양배추누렁이병 등이 대표적이다.
침입후 상호반응의 결과로서 병원체의발육지연이나 억제
수직저항성은 병원균이 특정한 레이스에만 효과적이고, 환경요인에 대해 안정적이다. 새로운 레이스가 생길 때, 저항성이 무너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