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농림 해충학 01 곤충 분류
    농업직, 농촌지도직 자료 2024. 1. 10. 00:13
    반응형

    농업 곤충

      곤충은 동물학상 절족동물문 곤충강에 속한다. 농작물을 가해하여 직접적, 간접으로 피해를 준다.곤충이 번성한 이유는 날개의 발달로 종족 분산이 빠르고, 변태로 환경에 적응하며, 구조(신체)적으로 적응하고, 외골의 보호와 소형화 등이 있다.

      곤충은 머리, 가슴,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쌍의 복안과 1~3개의 홑눈이 있으며, 머리에는 1쌍 더듬이가 있다. 채소를 가해하는 해충 중에서 주류는 나비목이다.

      무시아강은 날개가 없고, 변태를 하지 않는다(무변태). 톡토기목, 낫발이목, 좀붙이목, 좀목 등이 이에 속한다. 목의 분류는 날개의 진화, 모양, 변태의 방식 등에 의해 나누어진다.

     

    변태적 분류

      무변태는 무시아강으로 날개가 없다. 톡토기목, 낫발이목, 좀붙이목, 좀목 등이 있다반변태는 고시강으로 날개를 접지 못한다.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등이 있다불완전변태는 날개를 접을 수 있고, 외시류가 이에 속한다과변태류는 집게벌레, 바퀴목이 있다완전변태류는 내시류(-애벌레-번데기-성충)가 이에 속한다. , 약대벌레, 뱀잠자리, 풀잠자리, 밑들이, 날도래, 벼룩, 파리, 나비목 등이 있다과변태는 딱정벌레, 부채벌레 등이 속하며 알-유충-의용--성충의 단계를 거친다.

     

    곤충분류 대강

      톡토기목은 더듬이가 4마디 이상이며, 겹눈은 몇 개의 작은 눈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리에는 도약기가 있다. 말피기씨관은 없다.

      낫발이목은 매미형 입틀이며, 더듬이가 없다.   좀목은 더듬이, 말피기씨관이 있다.  하루살이목은 앞날개가 크며 입틀은 퇴화 또는 없다. 약충은 물속에서 생활하며, 기관아가미로 호흡을 한다. 더듬이는 짧다. 평균곤이 없고, 날개의 시맥이 극히 많다.   잠자리 목은 아랫입술과 겹눈이 매우 발달하였다.

      집게벌레목은 날개가 2쌍이고, 점진변태(과변태)하며, 식육성이다 바퀴목은 겹눈과 더듬이가 발달하였다대벌레목은 육식이 아니라 식식성이다 메뚜기목은 청각기관이 발달하였고 날개가 2쌍이며, 앞날개는 두텁고 뒷날개는 크다. 쌍꼬리는 짧고 마디가 없다. 귀뚜라미, 여치류가 이에 속한다.

      흰개미붙이목은 부절이 3절이며, 실을 토한다 강도래목은 더듬이가 발달하였고, 약충은 물속에서 생활하며, 2쌍의 날개가 있다.   흰개미목은 씹기 입틀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생활을 하고, 날개는 망상이다.

    총채벌레목은 단위생식을 하고, 왼쪽 큰턱이 한개만 발달하여, 입틀의 크기 다르다. 날개가 가늘고 날개맥이 없다. 발마디는 2마디이며, 끝에 주머니가 있다.

      노린재목은 아랫입술이 발달하였고, 큰턱과 작은턱이 겹쳐 주사침을 형성한다. 유시형으로 장시형과 단시형이 있다. 초식, 포식, 수서생활을 한다. 식물바이러스의 매개충이며, 반초시(앞날개의 끝부분 막질로 구성)이다.   매미목은 단위생식을 하며, 유시형과 무시형도 있다, 앞날개는 키틴화 되었으며 진딧물, 매미, 멸구, 깍지벌레 등이 이에 속한다.   벌목은 입이 핥는형 입틀을 겸비하고, 유충은 다리가 대부분 없다. 입벌아목, 말벌아목으로 벌, 말벌, 잎벌, 개미 등이 있다.

      딱정벌레목은 가장 큰 목으로 나용이며, 외골격이 발달하였다. 유시충과 무시충이 있으며, 배에 육상돌기가 있다. 벼잎벌레, 딱정벌레, 바구미가 이에 속한다. 초시는 앞날개 변형된 것이다.   부채벌레목은 입틀의 퇴화 또는 없으며 과변태한다. 벌목, 멸구류에 외부 기생한다. 수컷에만 날개에 촉각이 있다.

      뱀잠자리목은 유충이 물속생활하며, 약대벌레목과의 구별법으로 목이 매우 길다.   파리목은 파리, 모기, 각다귀, 등애 등이 이에 속한다. 뒷날개는 퇴화되어 소형의 주걱모양이고, 빠는형, 핥는형 입틀이며 유충다리는 없고 구데기 모양이며, 번데기는 나용이다.   날도래목은 유충이 물속에서 생활하며, 실을 토한다. 기관 아가미 호흡하며, 큰턱이 없다.  나비목의 성충은 작은 턱이 길게 발달하였고, 유충은 씹는 입틀이 발달하였으며, 부속지가 꼭붙은 피용(번데기)이다. 곁눈은 크고 몸에 털이 많다

      번데기는 형태에 따라 나용(벌목, 딱정벌레목), 위용(파리목), 피용(나비목)으로 나눈다3대해충은 나비, 딱정벌레, 노린재목이다. 우리나라는 곤충분포상 구북부에 속하며, 온도, 습도, 먹이의 영향을 받는다.  이동과 분산작용은 기상요인, 먹이, 짝찾기와 관련이 있다.  해충은 인류에게 직간접적으로 손해를 끼치는 벌레를 의미한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