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의 생태
단위생식하는 곤충은 진딧물, 밤나무순혹벌 등이 있고, 유성생식하는 곤충에는 수벌이 유명하다. 진딧물은 단성생식으로 암컷만 낳아 세대를 유지하다가 가을에 암수가 짝짓기를 하여 알을 잡초 뿌리 등에 낳는다. 월동 후 알이 부화하여 전부 암컷이 되는데 이를 간모라 한다.
곤충의 난 기간은 짧은 것은 파리로 2-3일 정도이고, 긴 것은 말매미로 9년에 1세대를 이루는 것도 있다. 번데기의 형태는 벌은 나용이고, 나비는 피용이며, 파리는 위용이다. 변태는 유충의 모양이 성충과 다른 것을 반변태라 하고, 약충이 성충과 비슷한 것을 점변태라 한다. 유충이 허물을 벗고 탈피하는 기간을 영기라 한다.
완전변태(내시형)는 알-유충-번데기-성충의 단계를 모두 거치는 것을 말하고, 나비목(벼룩,파리), 딱정벌레목, 벌목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불완전변태(외시형)는 반변태(성충과 유충의 모양이 다름, 잠자리목, 하루살이목)와 점변태(성충과 약충의 모양이 비슷, 진딧물, 메뚜기, 총채벌레, 노린재) 그리고 무변태(성충과 유충의 변화가 거의 없음, 톡토기목(무시아강))으로 나눌 수 있다.
복숭아혹진딧물은 바이러스를 매개하고, 단성생식을 하며, 기주전환을 한다. 성충은 곤충이 완전히 자라서 그 이상의 변화가 없을 때를 말하며, 4령충은 3회 탈피를 한 유충을 의미한다. 세대경과가 많은 것은 목화진딧물로 환경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연 30세대를 경과하기도 한다. 무시아강(무변태) 곤충에는 톡토기, 낫발이, 좀붙이, 좀 등이 있으며, 날개접이를 못한다.
변태순서는 부화-탈피-용화-우화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우화는 번데기가 성충이 된 것을 말한다. 불완전변태는 유충과 번데기 기간이 확실히 구별하기 힘든 것을 의미하며, 번데기 과정은 완전변태 과정에서 필요한 과정이다. 식육성(육식성) 곤충은 잠자리, 침노린재, 등애, 꼬마벌 등이 있고, 단식성 곤충은 감꼭지나방, 벼멸구, 솔나방, 누에 등이 있다. 협식성 곤충은 배추흰나비가 대표적이다. 잡식성으로는 흰불나방, 거세미, 메뚜기 등이 있고, 다식성에는 쐐기, 집시나방 등이 있다. 포식성 곤충은 살아있는 곤충을 먹이로 하며 됫박벌레, 파리매, 말벌 등이 대표적이다. 포식성으로 성충, 유충 모두 가해하는 것은 무당벌레, 딱정벌레, 침노린재 등이 있다.
주성은 곤충이 어떤 종류의 자극을 받았을 때 자극원 쪽으로 반응하거나 혹은 멀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주광성은 빛에 반응하고, 주화성은 화학물질에 반응하며, 개미가 있다. 주행성은 나비, 벌이 해당한다. 해뜨고 질 때, 희미할 때는 복숭아순나방이 활동한다. 주지성에(-) 음의 반응은 매미충, 주지성(+)에 양의 반응은 방아벌레가 있다. 주광성(+)에 양의 반응은 이화명충, 집파리, 솔나방, 꿀벌 등이 있다. 집파리 유충은 주광성(-), 성충은 주광성(+)이다
주열성(+)에 양의 반응은 모기, 번데기가 있고, 야행성은 나방류, 귀뚜라미가 대표적이며, .흰나비는 주화성으로 십자화과 채소에 알을 낳는다. 주촉성은 나무의 싹, 가지 틈에 서식하는 나방으로 딴 물건에 접촉한다. 유인제나 기피제는 주화성에 기인하는 것이고, 주광성은 파장 330-400이나 청색 유아등에 반응한다. 진딧물과 애멸구는 황색등에 반응한다. 주지성은 진딧물의 머리 쪽이 땅을 향하여 앉는 성질 또는 곤충이 앉을 때 머리 방향을 잡는 성질을 말한다.
곤충이 번데기 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은 알리타제이며, 용화나 탈피 호르몬은 앞기름샘이며, 고리샘(환상샘)은 용화 탈피시 용화를 억제한다.
윤작에 의해 해충방제는 생활사가 길고 단일식물을 가해하는 해충에 이용한다. 생활사는 알에서 성충까지 한 세대를 의미한다. 부화는 알에서 나오는 것을 말하며, 유충에서 번데기가 되는 것을 용화, 번데기에서 성충이 되는 것을 우화라 한다.
해충발육 조건은 온도에 의해 좌우된다. 천적은 기생하거나 또는 잡아먹음으로써 해충의 번식을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주년경과는 1년을 통한 해충 발생 상태를 말한다. 유충(애벌레)월동하는 것은 흰불나방, 멸구, 매미충 등이 있으며, 성충월동은 네팔나비, 딸기잎벌레가 알려져 있다. 번데기월동은 배추흰나비가 유명하다. 해충 발생경보는 농촌진흥청에서 하고, 예찰원은 정량조사, 순회조사를 하며, 정기예찰은 통계적 방법을 쓴다. 하순선 분비는 나비목, 벌목 유충에서 견사를 분비하여 유충의 방과 번데기의 방을 만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