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나무류에 발생하는 병(2)식물보호, 종자, 시설원예기사, 나무의사 2025. 5. 10. 16:54반응형
6. 소나무류 푸사리움가지마름병(Fusarium circinatum), = 송진가지마름병, = 수지궤양병
신초와 줄기에서 수지가 흘러내려 흰색으로 굳어 있다.
2~3년생의 어린 나무에서부터 직경 30㎝ 이상의 큰 나무까지 말라죽게 한다.
이 병해는 밀식 조림지에 피해가 심하다.
병원균의 병원성은 대단히 높으며, 피해가 심한 임지에서는 많은 나무가 일시에 고사한다.
병원균은 기계적인 상처(강한 바람, 우박, 나무좀류, 바구미류 등 해충) 등을 통하여 침입한다.
병든 가지는 발견 즉시 잘라서 소각한다.
과밀 임분은 간벌을 실시하고, 고사목이나 고사 가지를 제거한 다음, 임내를 정리한다.
피해가 심하지 않은 임지는 간벌을 실시하여 산림을 건강하게 육성다.
피해가 매우 심한 임지는 다른 나무를 심는다.
간벌목의 줄기는 이용 가능하나, 병든 가지는 가능한 임외반출 후 소각 또는 파쇄한다.
양묘장에서는 베노밀·티람 수화제(benomyl 20%, thiram 20%) 등으로 종자 소독한다.
공원 등의 조경목은 테부코나졸 유탁제(tebuconazole 25%)를 3월에 나무 주사한다.
리키다소나무에 테부코나졸을 나무주사하여 방제한다.
신초와 줄기에서 수지가 흘러내려 흰색으로 굳어 있다 . 7. 소나무류 잎떨림병(Lophodermium seditiosum) : 자낭반
유럽과 북미에서 피해가 크다.
15년생 이하의 어린 잣나무에서 많이 발생한다.
소나무류 잎떨림병은 당년생 잎은 감염시키지 않는다.
수년간 지속적으로 피해를 받으면 생장이 뚜렷하게 떨어진다.
살균 처리는 7~8월에 자낭포자가 비산하는 시기에 실시한다.
소나무, 곰솔, 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등의 묘목과 조림목에 모두 발생한다.
임지 내 풀깍기 및 가지치기를 한다.
수년간 지속적으로 피해를 받으면 생장이 뚜렷하게 떨어진다. 8. 삼나무 잎마름병(Pestalotiopsis gladicola) : 분생포자반
통풍이 불량하고 다습할 때 대발생하고 상처를 통해 침입한다.
분생포자 덩이가 분출되어 마르면 뿔 모양이 된다.
잎과 어린줄기가 말라 죽어 수형이 엉성해지며, 관상적 가치가 떨어진다.
작고 검은 점(분생포자반)이 밀생하고, 가운데가 찢어진 방추형이다.
초기에 갈색 ~ 적갈색 병반이 형성되고, 점차 회백색으로 변한다.
9. 삼나무 붉은마름병(Cercospora sequoiae) : Cercospora blight
실생 1~4년생의 어린 묘목에 주로 발생된다.
병든 묘목이 성목(成木)이 되었을 때 줄기가 불규칙하게 형성되므로 가치를 떨어뜨린다.
6월부터 지제부 줄기 및 침엽이 적갈색으로 변하며, 여름과 가을에 급격히 피해를 일으킨다.
당해년도 묘목의 경우 이 병에 의해 전멸되는 경우도 있다.
북미에서는 삼나무 피해 병원균으로 C. sequoiae와 C. sequoiae var. juniperi가 있다.
건전 묘목을 골라서 식재하며, 전염원인 병든 묘목은 빨리 뽑아서 태운다.
삼나무 묘포에 삼나무 생울타리는 하지 않으며, 질소 비료를 적게 주고 인산, 가리비료를 준다.
포자가 성숙하는 4월 하순까지 전염원을 제거하며, 병든 묘목은 병징이 가벼워도 심지 않는다.
6 월부터 지제부 줄기 및 침엽이 적갈색 으로 변하며 , 여름과 가을에 급격히 피해를 일으킨다 . 10. 낙엽송 가지끝마름병(Guignardia laricina) : 자낭각
고온다습하고 강풍이 심한 곳에서 피해가 심하다.
병원균은 병든 낙엽 또는 가지에서 자낭각으로 월동한다.
초여름 감염 증상과 늦여름 감염 증상이 다르다.
감염된 조직에서 수지(송진)가 흘러나온다.
고온다습한 조건인 28~30℃의 장마철에 주로 발병한다.
이식묘에서는 정아감염으로 빗자루 모양의 부정묘가 발생한다.
침엽과 어린 가지에 감염되고, 낚시바늘 모양으로 구부러진다.
6~7월에 감염되면 수관 위만 남기고 낙엽이 되고, 7월경에 분생포자각 형성한다.
8~9월에 감염되면 가지는 꼿꼿하게 선 채 말라 죽고, 9월 이후에는 자낭각 형성한다.
감염된 조직에서 수지 ( 송진 ) 가 흘러나오며 침엽과 어린 가지에 감염되고 , 낚시바늘 모양으로 구부러진다 . ▶ 소나무류에 발생하는 병(1)이 궁금하시면 아래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반응형'식물보호, 종자, 시설원예기사, 나무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주를 이동하는 해충(1) (1) 2025.05.18 소나무류 가해 해충 (3) 2025.05.14 소나무류에 발생하는 병(1) (0) 2025.05.06 밤나무 줄기마름병과 밤나무 가지마름병의 특징 대해 알아봅시다 (2) 2025.05.04 난균문 병원균의 특징 (0) 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