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밤나무 줄기마름병과 밤나무 가지마름병의 특징 대해 알아봅시다식물보호, 종자, 시설원예기사, 나무의사 2025. 5. 4. 22:24반응형
1. 밤나무 줄기마름병과 밤나무 가지마름병의 특징
구분 밤나무 줄기마름병 밤나무 가지마름병 병원균 Cryphonectria parasitica Botryosphaeria dothidea 기주범위 좁다 넓다 포자 형성 자낭각(자낭포자), 분생포자각(분생포자) 자낭각(자낭포자), 분생포자각(분생포자) 감염 부위 가지와 줄기 가지와 줄기 예방법 비배와 배수 관리에 유의 비배와 배수 관리에 유의 가지나 줄기에 황갈색~적갈색의 병반을 형성한다. 2. 밤나무 줄기마름병(Cryphonectria parasitica)
가지나 줄기에 황갈색~적갈색의 병반을 형성한다.
증상이 심해지면 육안으로도 잘 보이는 검은 포자가 형성된다.
병원균의 자좌는 수피 밑에 플라스크 모양의 자낭각을 형성한다.
자낭포자와 분생포자에 의해서 감염이 된다.
자낭각이 수피 밑에 형성되며, 수피의 갈라진 틈으로 돌출한다.
병든 부위의 수피를 떼어내면 황색의 두툼한 균사판이 나타난다.
저병원성 균주는 dsRNA 바이러스를 가지며 생물적 방제에 이용한다.
일본과 중국 밤나무 종은 상대적으로 저항성이고, 미국과 유럽 밤나무 종은 감수성이다.
1900년대 아시아에서 건너온 병원균은 북미에서 밤나무림을 황폐화시켰다.
병에 감염되고 3~6주 후에 분생포자각이 형성되고, 월동하는 유성포자는 자낭각을 형성한다.
분생포자는 빗물이나 곤충에 의해 전반되며, 참나무에도 침입하여 사물기생을 한다.
pH 2.8 이하의 낮은 옥살산을 분비한다.
죽은 나무에서도 수년 동안 포자를 형성하여 전염시킨다.
대표적인 확산(분산)형 궤양병은 밤나무 줄기마름병이고, 주로 상처에 의해 발생한다.
수목의 부피생장보다 궤양병이 더 빠르게 확장한다.
길이 방향으로 균열이 생기며, 감염된 지 몇 년 내에 환상박피가 나타난다.
감염된 줄기의 수피가 갈색으로 변하고 증상이 심해지면 검은색으로 변한다 . 3. 밤나무 가지마름병(Botryosphaeria dothidea)
다범성 병으로 유실수를 포함한 각종 수목의 가지와 줄기를 가해한다.
사과나무, 밤나무의 과실을 썩히기도 한다.
자낭각이 시간이 지나면서 표면에 거칠거칠하게 나타난다.
자낭각은 대체로 구형이고, 암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돌기가 표면 밖으로 나타난다.
감염된 줄기의 수피가 갈색으로 변하고 증상이 심해지면 검은색으로 변한다.
6~8월에 감염된 부분에서 분생포자각과 자낭각이 형성된다.
뿌리에 감염되면 7월에 지상부의 잎이 누헣게 변하고 점차 적갈색으로 변한다.
초기에는 가는 뿌리에 감염되고 점차 굵은 뿌리로 옮겨가며 심하면 술 냄새가 난다.
아까시나무가 주요 전염원이므로 밤나무 주변의 아까시나무를 제거한다.
반응형'식물보호, 종자, 시설원예기사, 나무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무류에 발생하는 병(2) (2) 2025.05.10 소나무류에 발생하는 병(1) (0) 2025.05.06 난균문 병원균의 특징 (0) 2025.05.01 문제 : 앞털뭉뚝나무좀과 미국흰불나방의 특징을 비교하시오. (1) 2025.04.26 수목의 외과 수술 (1)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