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선충에 의한 수목병(1)
    식물보호, 종자, 시설원예기사, 나무의사 2025. 5. 25. 22:17
    반응형

    선충에 의한 수목병

    구분 특징 종류
    Dorylaimida 식도가 두 부분으로 되어있는 Dorylaimoid형의 식도와 식도형 구침을 갖고 있으며, 몸이 큰 선충이다. Nepo바이러스 매개 Xiphinema(창선충),
    Longidorus(바늘선충)
    Tobra바이러스 매개 Trichodorus,
    Paratrichodorus
    Tylenchida
    (참선충목)
    Aphelenchida아목 - 중부 식도구가 체폭의 2/3 이상인 선충 지상부 가해 선충 Aphelenchoides(잎선충),
    Bursaphelenchus(재선충)
    식균선충 Aphelenchus
    (꼬리 끝이 둥글다)
    Tylenchida 아목 - 중부 식도구가 체폭의 2/3 이하인 선충
    * 가장 많은 종의 식물선충이 포함
    * Criconetoidea상과
    - Criconematidae(주름선충과), 이주성 외부 기생성
    - Paratylenchidae(침선충과), 이주성 외부 기생성
    - Tylenchulidae(감귤선충과), 고착성 반내부 기생성
    * Tylenchoidea상과

     

    * Tylenchoidea상과

    과분류 난소수 특징
    Anguinidae 1 음문은 몸의 중앙과 항문 사이에 위치함
    후부식도선은 장과 다소 중첩됨
    Pratylenchidae
    (썩이선충과)
    1~2 모두 내부 기생성 선충
    Pratylenchidae아과 - 이주성 선충
    Nacobbinae아과 - 고착성 선충
    Hoplolaimidae 1~2 , 외부 기생성 및 이주성, 고착성 선충,
    암컷의 꼬리 길이는 체폭의 2배 이하
    Hoplolaiminae아과 - 이주성
    Rotylenchulinae아과 내부 기생성 고착성
    Tylenchorhynchidae 2 음문은 몸의 중앙부에 위치,
    암컷의 꼬리 길이는 항문 부위 체폭의 2배 이상,
    수컷의 교접낭은 길고 꼬리 끝부분까지 도달
    Belonolaimidae 2 후부식도선은 장과 중첩됨
    Dolichodoridae 2 외부 기생성, 이주성 선충
    음문은 몸의 중앙에 위치함
    후부식도선은 장과 중첩되지 않음.
    수컷의 교접낭은 3엽으로 되어있음.
    Heteroderidae
    (뿌리혹선충과)
    - 내부 기생성 고착성 선충
    후부식도선은 복면 또는 측면으로 장과 중첩됨.
    수컷의 교접낭은 없음.
    시스트선충(각피가 가죽질인 암컷),
    뿌리혹선충(각피가 얇은 암컷)

     

    < 지상부 선충병 >

    1) 소나무시들음병 (소나무재선충)

    수령과는 관계없이 갑자기 침엽이 변색하여 나무 전체가 말라 죽는 증상이 나타난다 .

    -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어리소나무재선충(B. mucronatus, 제주도)이 일으킴

    - 일본에서 가장 피해가 크며, 미국에서는 1979년에 보고(저항성 수종이 많음)

    - 우리나라는 1988년 부산에서 처음 발견됨

    - 적송과 곰솔이 매우 감수성, 리기다소나무는 저항성, 미국 남부 수종인 테다소나무는 강한 저항성

    - 낙엽송, 가문비나무, 향나무, 잣나무 등도 기주식물(감수성).

    - 수령과는 관계없이 갑자기 침엽이 변색하여 나무 전체가 말라 죽는 증상이 나타남.

    - 감염 후 나타나는 증상은 상처로부터 나오는 송진량의 감소이다. 이후 몇 주 내에 말라 죽음.

    - ‘소나무에이즈라고도 불린다.

    -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a), 북방수염하늘소(M. carolinensis)가 매개충임.

    - 여름철 선충의 생육이 좋을 때는 생활사의 주기는 4일 정도임.

    - 선충 밀도가 어느 정도 되면 불리한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영속 유충으로 변해, 하늘소 유충에

    감염되어, 하늘소가 성충이 되어 비행할 때 함께 이동하여 전염됨.

    솔수염하늘소 , 북방수염하늘소가 매개충이다.

    2) 야자나무 시들음병(Bursaphelenchus cocophilus)

    - 감염부위 근처의 오래된 잎의 끝부분부터 안쪽으로 노랗게 변해가며 점차 잎이 갈변한다.

    - 죽은 잎은 꺾여 매달려 있게 되며, 점차 어린잎에서도 갈변한 잎이 나타나고 전체가 죽게 된다.

    - 줄기를 횡단하면 적황색 ~ 갈색의 윤문이 형성되어 있다.

    - 매개충은 야자바구미, 사탕수수바구미 등이 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