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잡초방제학 01 잡초의 분류 및 생리, 생태
    농업직, 농촌지도직 자료 2024. 1. 16. 23:47
    반응형

    잡초의 분류별 분포

      농업기술이 고도로 투여된 천이과정은  내비성 잡초가 증가한다. 식물학에서 품종은 종------계의 역순이다. 쌍자엽 식물의 특징은 자엽 1, 평행맥, 섬유근계 조직이고, 단자엽 식물은 자엽 2, 우상맥, 직근계 조직이다. 잡초는 생육기간에 따라 1년생, 2년생, 다년생 잡초로 나눌수 있다. 다녕생 잡초는 올챙이고랭이, 민들레, 질경이, 산달래, 야생마늘, 너도방동사니, 쇠뜨기 등이고, 수습 적응성 잡초는 수생잡초(물달개비), 습생잡초(둑새풀), 건생잡초(냉이, 개비름)로 나룰 수 있으며, 발생시기에 따라 여름형 잡초, 월동형(겨울형)로 구분하기도 한다.

      논 벼농사 다년생 잡초는 올방개, 올미, 올챙이고랭이, 벗풀, 너도방동사니(올올올벗너) 등이고, 1년생 잡초는 피(강피, 돌피, 굴피), 가막사리 등이다.

      잡초는 화본과 잡초가 가장 많고, 다음은 국화과 그리고 사초과 순이다. 화본과 1년생 잡초는 바랭이, , 개기장, 둑새풀 등이고, 화본과 다년생 잡초는 나도겨풀이 있으며, 방동사니(사초과) 1년생 잡초는 알방동사니, 참방동사니바람하늘지기, 바늘골(방방바바) 등이 있고, 다년생 잡초는 너도방동사니, 매자기, 올방개, 쇠털골, 올챙고랭이, 파대가리가 있다. 피는 화본과 1년생 잡초로, C4식물에 속하며,  강피, 굴피, 돌피, 대만피 등이 있다.

      밭 잡초 중에 화본과 1년생은 강아지풀, 개기장, 바랭이, 피 등이며, 방동사니과 1년생은 바람하늘지기, 참방동사니, 파대가리 등이며, 주요 밭잡초는 바랭이, 쇠비름, 냉이, 겨풀, 명아주 등이다. 답리작 잡초는 별꽃, 황새냉이, 광대나물, 벼룩나물 등이 알려져 있다.

      잡초의 명명법은 속명-종명-명명자로 이루어졌다과수원에 우점하는 평지 잡초는 1년생 밭잡초이고, 경사지 잡초는 다년생 밭잡초이다. 과수원에 시기별로 발생하는 잡초는 3월 하순에는 냉이, 둑새풀, 개밀, 여귀 등이며, 5월 중순 잡초는 바랭이가 대표적이고, 6월 초순에는 쇠비름이 우점한다. 논 이앙재배시 우점 잡초는 올방개, 올챙이고랭이, 물달개비(올올물) 등이다.

     

    잡초의 생리, 생태

      잡초 생육은 토성, 일장, 광도에 영향을 받는다. 다년생 잡초는 영양번식능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포복경, 인경, 지하경 순이다. 잡초의 특징은 왕성한 번식력, 폭넓은 전파력, 빠른 성장력을 자랑한다. 인위적 휴면 타파법은 파상법, 온도처리법, 지베렐린처리법 등이 있다.

      18세기 이전 주요 잡초종의 작물과의 관계 특성은 형태적 유사 초종이었다. 잡초 종자 메몰 수가 가장 적은 곳은 목초지이고,  많은 곳은 기존 농경지이며, king의 잡초 발아 5단계는 물의흡수-세포분열신장(대사과정)-종근-유아신장-유아출현 순이다.

      잡초 발아에는 광, 산소, 온도가 중요하고, 광발아 잡초 종자는 바랭이, 쇠비름, 개비름, 참방동사니(바쇠개참) 등이 있고, 암발아 잡초 종자는 냉이, 광대나물, 둑말풀, 벌꽃(냉광둑벌) 등이 있으며, 체질적 다형성의 예로 도꼬마리의 꼬투리내 두 종자를 들 수 있다.

      발아주기성이란 같은 조건 하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최고의 발아율을 나타내는 특성을 말하고, 준동시성이란 일정한 기간 내에 대부분 종자가 발아를 마치는 것을 말한다. 잡초의 안전영역은 휴면타파를 위한 광 요구성, 토양교란 적응성, 종자의 다형성, 종자의 경일화 등이다. 식생의 천이에 관여하는 요인은 제초이고, 잡초 천이에 가장 극적인 요인은 제초제이며, ramet으로서 생태적 특성 구비는 다년생이며, 종자은행(seed bank, seed pool)은 토양인 것이다.

      광발아 잡초 종자의 발아율 증가요인은 장일 조건이고, 계절성이란 계절 특성을 나타내는 일장에 반응하고 휴면타파하며 발아하는 특성을 말하고, 한 개체군 내와 종간에 항상 존재하는 일종의 정규변이 현상은 내성(tolerance)이다. 천이는 미시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에 따라 종대체를 하고 조성초종이 변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농경지 잡초 피해기생, 경합, 상호대립억제 등이고, 잡초의 인축 피해병해충매개, 환경악화, 혼입부착 등이며, 식물경합으로서의 자원은 , 수분, 산소 등이고,   잡초와 작물 간의 경합요인수분, , 무기영양 등이다.

      잡초경합한계기간초관형성에서 생식생장기 이전까지 이고, 인접 식물체간 음성적 간섭현상은  경합작용, 편해작용, 기생 등이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