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대책은 멀칭재배, 뿌림골을 낮고 좁게하고 퇴비, 인산, 칼리비료를 증시하며, 질소비료를 적게 시용한다. 가뭄에 강한 작물은 고구마, 조 등이 있다. 한해 요인은 세포의 삼투압 저하, 당분농도의 저하, 근계 발달의 불량 등이 중요하다. 한해 방지 대책으로는 비닐멀칭, 피복, 중경제초 등이 있다.
식물에서 물의 흡수는 근모부에서 이루어진다. 관계(물대주기)효과는 초기 보온 효과, 수분 공급, 잡초 및 병충해 발생 억제 등을 들수 있다.
생리적 한해 원인은 포장 과습(수분이 너무 많아서)에 의해 뿌리에서 호흡을 원활히 하지 못해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생리적 한해의 영향은 광합성 감퇴, 효소작용 교란, 호흡작용 증대, 양분 및 수분흡수 감퇴를 초래한다.
냉해는 지연형 냉해, 장애형 냉해, 병해형 냉해로 나눌 수 있다. 지연형 냉해는 등숙이 늦어져 수량에 영향을 주고, 장해형 냉해는 생식세포의 냉온 영향으로 불임현상을 초래하며, 병해형 냉해는 병해 발생의 조장으로 수량이 줄어든다.
대기오염은 아황산가스, 불화수소 팬(불화수소+오존+이산화탄소) 등이 주요 원인이고, 아황산가스(SO2)에 강한 식물은 은행나무이며, 대기중 CO2 농도 0.03%로 일반적으로 광합성에 부족한 편이다. 일평균 기온은 오전 10~11시 사이이며, 적산온도는 작물 생육기간 중 매일 평균기온의 총합온도이다. 저온에 강한 작물은 가을보리, 감자, 양배추 등이며, 냉해는 고온 작물에서 하계기온 저하로 생육에 장해를 초래하는 것을 말한다. 동상해 응급대책으로는 관개, 연소, 피복 등이 있다. 벼의 냉해 회피성 품종은 조생종이다.
작물이 동사하는 것은 세포내 결빙이 되어야 하고, 세포외 결빙 후 세포내로 이동하며, 내동성 식물은 세포내 결빙이 없다. 동결과 융해의 반복으로 조직의 동결온도가 높아지며 동해 피해가 발생한다.
하고현상은 다년생의 북방형 목초의 여름철 황화 및 고사하는 것을 말하며 주요 원인은 고온건조, 장일, 잡초의 병해충 발생 등을 들 수 있다. spring flush는 북방형 목초가 봄에 생식생장이 조장되어 산초량이 급증하는 것을 말한다. 하고 대책으로는 spring flush 시기에 생육을 완화시키고, 고온건조기에 관개를 실시하며, 가축의 방목, 제초를 실시한다. 화아분화 촉진은 온도와 일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다. 풍해는 절손, 열상, 낙과, 토양침식과 도복, 건조 및 고사, 백수현상, 불임립 발생 조해등이 나타난다.
내음성 지표는 광포화점, 광보상점, 최저수광률에 따른다. 작물은 음생작물과 양생작물로 나눌 때, 음생작물은 최저 수광률이 낮아 초생재배, 간혼작에 적용한다. 광 부족하에서는 황백화, 착색불량, 도장 든이 발생할 수 있으며, 굴광현상은 줄기에서는 향광성, 뿌리에서는 배광성이고, 광합성 효과가 많은 파장은 적색광, 청색광, 자색광이며, 광합성 효과가 적은 파장은 녹색, 황색, 주황색 파장이다. 온도, 광(강)도, CO2 농도가 증가하면 광합성도 증가한다. 광합성 속도가 빠른 파장은 670nm이며, 굴광성은 일광이 있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말한다. 광합성 유효파장은 6,200~7,700 A이다. 호광성 종자는 담배, 상추 등이고,
종자발아 환경은 수분, 온도, 산소 등이 중요하다. 장일은 12~14시간을 말하고, 일장효과는 일조시간의 변동에 따라 꽃눈의 개화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굴광현상에 유효한 범위는 청색광 400~500 nm 사이이다. 중생식물은 넓은 범위의 일장에서 화성을 유도하고 개화하며, 토마토, 고추, 당근, 셀러리 등이 여기에 포함되며, 유도일장, 최적일장, 한계일장의 개념이 없다. 장일성 식물은 장일 처리에 출수를 촉진하며, 토마토, 고추는 일장의 장단에 필요없이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전환하며 일장보다는 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광합성에 유효한 광선은 적색광(650~700nm)과 청색광(400~500nm)이다. 일장처리에 감응하는 부위는 성숙한 잎에서 일어난다. 봄보리, 시금치는 봄에 꽃이 피고 결실을 맺는 장일식물이고, 개화기의 조절은 C/N율, 춘화처리(vernalization), 일장효과에 따라 달라진다. 단일처리로 영양생장 기간을 연장하는 작물은 무가 대표적이고, 장일처리로 영양생장 기간을 연장하는 식물은 국화가 알려져 있르며, 2~3개월 개화를 늦추기에는 장일처리가 중요하다. 또한 개화 시기를 단축시키려면 단일처리를 해주어야 한다. 춘화처리(vernalization) 작물의 추파성을 없애기 위서는 저온 처리를 해준다. 일장이 짧아짐으로 개화를 촉진하는 고구마를 들수있으며, 추파성은 추파작물(예, 가을보리)을 봄에 파종할 때 춘화처리를 하지 않으면 출수할 수 없는 성질을 말하며, 영양생장을 과도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기상 생태형은 감온성, 감광성, 기본영양생장성 등이 중요하며, 작부체계 최초 대전법(이동농법)은 휴한농법 - 삼포식 - 개량삼포식 - 자유식 – 답전윤환으로 순환한다.